[핵심 답변]
OSI 7계층은 네트워크 통신을 표준화한 모델로, 통신 시스템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한 것입니다.
하지만 OSI 모델이 실무적으로 이용하기에 복잡한 탓에 실제 인터넷에서는 이를 단순화한 TCP/IP 4계층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면접
TIP]
저도 가끔 면접질문에서 받아봤던 네트워크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입니다. 네트워크를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본적인 내용이면서 이해하기 어렵지 않으니 가벼운 마음으로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OSI 7계층의 각 단계에서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지를 중점으로 공부하시면 됩니다. 또한 TCP/IP 4계층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를 비교하면서 공부하시면 충분합니다.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OSI 7계층과 TCP/IP 4계층 모델에서 각 계층은 하위 계층의 기능을 이용하고, 상위 계층에게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서 HTTP는 TCP과 IP을 이용해서 작동합니다.
일반적으로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소프트웨어로, 하위 계층의 프로토콜은 하드웨어로 구현됩니다.
(ex. 물리 계층의 통신은 케이블을 통한 전기 신호로 이루어집니다.)
< 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관계 > - HTTP, TCP, UDP, IP, Ethernet 등 통신 프로토콜이 TCP/IP 4계층의 어느 계층에 속하는지 살펴보면 네트워크 원리를 파악하기 좋습니다.
캡슐화(Encapsulation) & 역캡슐화(Decapsulation)
캡슐화란 통신 프로토콜의 특성을 포함한 정보를 Header에 포함시켜서 하위 계층에 전송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신 상대측에서 이러한 Header를 역순으로 제거하면서 원래의 Data를 얻는 과정을 역캡슐화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최상위 계층인 응용 계층에서 인터넷 접속(HTTP), 메일 전송(SMTP), 파일 전송(FTP), 원격 로그인(Telnet)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각 사용자입장에서 보면 data가 그냥 전송되는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이 과정을 OSI 7계층 관점의 캡슐화 / 역캡슐화 과정까지 바라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사용자가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각 프로토콜의 정보를 Header에 포함시켜서 하위 계층에 전달하고(Encapsulation), 이것은 최종적으로 물리 계층에서 binary 데이터로 변환되어 전송됩니다.
상대측에서는 이러한 Header를 역순으로 하나씩 제거하면서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달하고(Decapsulation), 최종적으로 원본 데이터를 수신하게 됩니다.
TCP/IP 4계층? 5계층?
TCP/IP 4계층에서 시작한 네트워크 표준이 꾸준히 갱신되면서 하위 레이어가 다시 세분화 되었습니다. TCP/IP 4계층의 Network Interface Layer를 Data link Layer와 Physical Layer로 나뉘어져서 TCP/IP 5계층 모델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