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home
무료 콘텐츠
home

현대자동차 지원할 때 팁이 있나요?

답변

1.
자동차 분야 개발자로 갖춰야 할 역량
a.
마이크로 컨트롤러 = C
b.
고성능 프로세서(AP) = C++
c.
이외 대부분 Python
2.
실무진 면접에서 신입한테 기대하는 면모
a.
교육이 필요한 전문성(실무 조력자 역할)
b.
신입으로 들어가면 학벌/능력 관계없이 회사 실무가 어떻게 굴러가는지 배워야 함. 교육을 통해 전문성 갖추는 시간이 필요. 전문성이 갖춰지는 동안 프로젝트 담당자로 배치되는 게 아닌 조력자 역할부터 시작.
3.
실무진 면접에서 경력한테 기대하는 면모
a.
교육이 필요 없는 전문성(실무 바로 투입)
4.
신입/경력을 떠나서 이런 사람이랑 일하고 싶다
a.
밝은 사람 = 대화 잘 되는 사람
5.
공개채용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합격률을 높일 수 는 방법(자소서, 포트폴리오(경력서), 기술(전공)면접, 인성면접, PT면접, 토론면접 등)
a.
자소서 - 여기서 제일 많이 걸러짐
b.
PT면접 - 여기서 결정됨

(추가)

1.
사내환경
a.
분야에 관심이 있어 이직했지만 전문 IT기업에 비해 오래 있을 환경(연봉, 복지, 개발환경 등)이 아니다. 개선이 필요하다. 정말 실력 있는 개발자들은 떠난다.
2.
신입에게 기대하는 면모
a.
신입에게는 큰 기대가 없다. 작더라도 실제로 활동을 해보았으며, 프로젝트에서의 개발 경험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수행했는데, 얼마나 깊게 수행했는지, 얼마나 기여했는지 이게 제일 중요하다.
3.
경력에게 기대하는 면모
a.
도메인 지식이 부족하더라도 해당 직무에서 프로젝트를 얼마나 완결성 있게 수행할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경력 채용이란 우리에게 부족한 능력을 지닌 사람을 채용한다는 의미이다.
4.
자소서
a.
고민 안 한 자소서는 바로 눈에 보인다. 지원한 직무에서 어떤 일을 하는지 알아보고, 고민해야 한다. 내가 가진 역량이 어떻게 부서에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일을 함께 하고 싶은지 자신의 생각이 필요하다. 설령 그 생각이 부족하거나 틀릴지라도 논리에 근거한 생각이라면 그 사람에 대해 궁금해지고 더 얘기하고 싶어진다.
5.
코딩테스트
a.
기본이다.
6.
CS전공지식
a.
차량 데이터(주행데이터 등)를 어떻게 확보하고 어떻게 쓸지에 따라 시장의 흐름이 바뀐다. 따라서, 비용이 많이 들지만 OS개발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다. CS관련 지식은 전체적으로 정말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하다.

(추가)

현대 및 자동차 협력사 지인들한테 개발자 역량 및 채용 관련하여 여러 질문을 드리면서 다른 질문도 몇 개 드렸었어요. 그 중에 아래 적힌 질문은 채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 생각되어 전달드리지 않았어요. 그런데 면접 질문으로 혹시 나올 수 있지 않을까 하여 괜찮은 답변만 몇 가지 전달드립니다.
해당 답변은 개인적 견해가 많이 녹아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Q. 전기차 시장에 대한 생각(파워트레인 30년도부터 세계적으로 생산 안 한다고 했는데, 현실적으로 그럴 것 같은지, 현재 국내 전기차에 비전은 있는지)
A1. 현대자동차 SW관련파트 파트장 : 실제로 제로에미션이 가능할지 해결해야 할 문제(범지구적으로는 생산하는 전력량이 내연기관의 사용 에너지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발전에서 나오는 에미션 부터, 소비자의 충전 인프라 및 소요시간에 대한 적응 등)가 많아 보임. 순수 전기차 시대가 정말 도래할까요? (제로에미션 = 무배출시스템: 폐기물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궁극적으로는 폐기물이 나오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순환형 산업시스템)
A2. 현대자동차 설계파트 9년 차 : 세계 비즈니스쪽 이슈라 직접적인 현업자가 바로바로 사측에서 관련내용을 전달받기는 어렵고, 뉴스가 더 빠를 수 있음. 개발도상국들이 있어서 30년도에도 개발될 것 같음. 없어지지 않고 병행.
A3. 현대자동차 SW관련파트 7년 차 : HEV 때문에 30년더부터 없어지진 않을 것 같음.
A4. 1차 협력사 해석파트 9년 차 : 전기차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매우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나, 파워트레인을 생산을 안 할 수는 없어 보임. 사용자의 니즈와 사용 환경에 따라 오히려 하이브리드가 크게 자리 잡을 수 있을 것 같음.